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고대 우주론, 인류가 우주를 상상했던 방법들

by zzin5 2025. 7. 13.

공부하면서 알게 된 흥미로운 이야기


서론: 고대 사람들은 우주를 어떻게 생각했을까?

최근에 우주에 대해 공부하다가 고대 우주론이라는 개념을 알게 됐습니다.
솔직히 ‘우주론’ 하면 빅뱅 이론이나 암흑에너지 같은 어려운 과학 개념만 떠올랐는데,
알고 보니 고대인들도 나름의 방법으로 우주를 설명하고자 했더라고요.

지금처럼 과학 장비가 없던 시대였지만,
그들 나름대로의 방식으로 하늘과 땅, 별의 움직임을 관찰하며
신화, 종교, 철학을 통해 우주를 이해하려 했다는 사실이 참 흥미로웠어요.

이번 글에서는 제가 공부하면서 알게 된 고대 우주론의 특징과 지역별 우주관들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우주를 바라보는 인류의 상상력과 철학의 시작점이 궁금한 분들이라면 함께 읽어주세요!


본론: 고대 우주론의 특징과 지역별 예시

고대 우주론의 공통적인 특징

고대의 우주론은 지금의 과학적 설명과는 달리, 신화와 종교에 깊이 기반하고 있어요.
대부분의 고대 문명에서는 우주의 탄생을 신의 창조나 혼돈에서 질서가 만들어지는 과정으로 설명했죠.

그리고 대부분의 고대인들은 지구가 우주의 중심에 있다고 믿었습니다.
하늘은 반구형의 돔처럼 지구를 덮고 있고, 별과 행성들은 그 돔 아래를 움직인다고 생각했어요.

하지만 이들이 마냥 상상만 한 것은 아닙니다.
고대인들도 별의 움직임을 관찰하고 나름의 논리를 세웠는데,
다만 이를 신화적 상상력과 결합해서 설명했다는 차이가 있을 뿐이죠.

1. 메소포타미아 – 수메르와 바빌로니아의 우주관

메소포타미아 문명, 특히 수메르인들은 하늘을 둥근 천장으로,
땅은 평평한 판처럼 여겼다고 해요.
하늘 아래에서 태양, 달, 별들이 움직인다고 생각했죠.

바빌로니아로 이어지면서 조금 더 발전된 모습을 보이는데,
지구를 평평하게만 보지 않고 어느 정도 둥근 형태로도 상상했다고 합니다.
이들은 별자리와 천체의 움직임을 잘 관찰해서 오늘날에도 사용되는 점성술의 기초를 마련하기도 했죠.

2. 고대 이집트 – 하늘을 감싼 여신 누트

이집트의 우주론은 신화적 상상력이 매우 풍부했습니다.
이집트인들은 태초에 혼돈의 물(홍수)에서 언덕이 솟고, 그 위에서 생명이 시작되었다고 믿었어요.

특히 하늘의 여신 누트가 땅을 감싸 안고 있는 모습으로 우주를 상상했습니다.
해와 달, 별들은 누트 여신의 몸을 따라 움직이는 것으로 여겨졌다고 해요.
이걸 알고 나서 이집트 벽화들을 다시 보니 정말 재미있더라고요!

3. 고대 인도 – 반복되는 우주의 순환

고대 인도의 베다 우주론도 굉장히 독특합니다.
그들은 우주가 '무(無)'에서 시작되어 창조되었다고 보거나,
어떤 원시인이 창조했다고 보는 등 다양한 신화를 가지고 있었어요.

하지만 더 인상적인 건, 인도에서는 우주가 생성과 소멸을 끊임없이 반복한다는 개념이 있었다는 점입니다.
이런 관점은 현대의 빅뱅-빅크런치 이론과도 연결되는 듯해서 더 흥미로웠어요.

또한 고대 인도에서는 삼계(三界)라는 개념으로 우주를 나눴습니다.
땅의 세계(지상계), 하늘의 세계(하늘계), 신의 세계(천계) 이렇게 세 가지로요.

4. 고대 그리스 – 철학과 수학이 더해진 우주론

제가 개인적으로 가장 인상 깊었던 건 고대 그리스의 우주론이었어요.
그리스에서는 단순히 신화에만 의존하지 않고, 철학과 수학으로 우주를 설명하려고 시도했거든요.

특히 피타고라스 학파는 우주에 수적인 질서가 있다고 보았고,
그래서 코스모스(cosmos)라는 말을 처음으로 사용했습니다.
코스모스는 '질서 있고 조화로운 우주'라는 뜻인데, 지금도 쓰이는 단어라서 신기했어요.

그리고 유명한 천동설(지구 중심설)도 이때 정립됐죠.
아리스토텔레스는 지구가 우주의 중심에 있고,
그 주변을 여러 개의 천구(sphere)가 둘러싸며 그 위에 별과 행성이 붙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하늘은 '에테르'라는 불변의 원소로 이루어져 있다고 생각했는데,
이런 개념들은 이후에도 꽤 오랫동안 영향을 미쳤더라고요.

또 그리스 신화에서는 카오스(혼돈)에서 질서가 만들어졌다는 이야기가 나와요.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서 이런 개념이 나오는데, 이런 식의 설명이 참 철학적이죠.


결론: 고대 우주론이 주는 의미

고대 우주론을 공부하면서 가장 느꼈던 건,
인간은 언제나 하늘을 올려다보며 궁금증을 가져왔다는 점이에요.
비록 지금의 과학적 지식으로 보면 그들의 생각은 틀렸지만,
그 시절 나름의 관찰과 상상으로 세상을 이해하려는 모습이 멋지지 않나요?

그리고 고대 우주론은 단순한 상상에 그친 게 아니라,
철학과 종교, 예술, 과학의 시초이기도 했어요.
이런 상상과 해석들이 없었다면, 과학적 방법론이나 지금의 우주론도 등장하지 못했겠죠.

우주를 향한 호기심은 지금도 여전하고,
우리는 여전히 우주의 95%를 모른 채 살아가고 있습니다.
어쩌면 오늘날 과학도 먼 훗날엔 또 다른 '고대 우주론'처럼 여겨질지 모른다고 생각하니,
우주를 바라보는 시선이 좀 더 넓어지는 것 같아요.

다음엔 중세와 근대의 우주론에 대해서도 정리해보고 싶네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